MUA(Mail User Agent) 사용자가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MTA(Mail Transfer Agent) MUA로부터 전달받은 메일을 다른 MTA로 전송하는 서버 프로그램 (목적지는 수신자의 MTA)
MTA는 SMTP를 이용해 다른 MTA로 메일을 전달함 (SMTP 서버)
MDA(Mail Delivery Agent) MTA에서 메일을 받아 사용자의 메일함에 저장하는 프로그램
MAA(Mail Access Agent)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가져오는 프로그램
DNS 레코드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에서 각 웹사이트 도메인 정보 보유
DNS 레코드 : DNS에 도메인에 관한 설정을 하기 위한 텍스트 파일들
MX 레코드: 메일 교환 레코드(Mail eXchanger record)
-메일을 수신할 서버를 지정해주는 값
-MX레코드를 입력하지 않을 시 상대방이 보낸 메일을 받아볼 수 없음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인터넷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표준 프로토콜
-Email을 보내기 위해서 TCP 25번 포트를 사용
-상대 서버에 지시하기 위해 DNS의 MX레코더가 사용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 원격 서버에서 TCP/IP 연결을 통해 Email을 읽어오는데 사용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
-원격 서버에 접속해 Email을 읽은 후 원격 서버의 Email을 삭제(삭제모드)
-TCP 110번 포트를 사용해 메일 서버에 접속해 저장된 메일을 내려 받는 MAA 프로그램
특징
-항상 연결 상태가 아닌 네트워크 접근에 유리
-사용자는 메일의 로컬 복사본을 검색하고 오프라인으로 읽을 수 있음
-서버에 읽지 않은 메일만 보관
IMAP4 (Internet Mail Access Protocol version 4) : 메일을 내려 받아도 메일 박스에 원본을 계속 저장
특징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도 유효함
-오프라인 작업 시 MUA 측에서 트랜잭션을 저장하고 서버에 연결되면 Commit 한 것으로 반영
1-메일은 메일 서버에 항상 저장되고 로컬 복사본을 검색한 시점에 서버에서
제거할 수 있음
-메일 상태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고 여러 단말을 통해서 동일한 email을
읽을 수 있음
-메일 소프트웨어와 관계없이 메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메일의 헤더만 검색
해서 텍스트 부분만 가져오기 등의 작업이 가능함
-IMAP4는 프로토콜의 복잡성과 보안 문제를 개선함
SMTP 동작 - 아스키코드만 보내짐(MIME 으로 풍성해짐), 파일 -> 텍스트로 모두 변환(1.2~1.3배 커짐 즉, 대용량에 좋지 않음)
이메일은 텍스트 파일임
봉투: 봉투에는 송신자 주소와 수신자 주소 그리고 다른 정보가 포함
메시지: 메시지에는 메일 헤더와 메일 바디가 포함
메일 헤더: 메일 헤더에는 송신자, 수신자, 그리고 메시지 주제와 다른 정보가 정의됨
메일 바디: 메시지의 실제 내용이 포함
Email(1)
2023. 4. 3.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