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OSI 7계층의 원리를 따른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순이다

 

1계층(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실제로 전기적 신호가 오가는 통로 역할을 수행

 

흔히 말하는 랜선 케이블이 하는 역할이 물리 계층의 역할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트 링크 계층은 각 포인트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 물리 주소(MAC Address)

 

3계층(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각 호스트간 경로에 맞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 논리 주소(IP Address)이다

 

4계층(전송 계층)

 

전송 계층은 두 컴퓨터의 특정한 프로세스까지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 포트 번호

 

5, 6, 7계층(상위 계층)

 

기타 상위 계층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단위의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계층

 

ARP Spoofing을 통해 노리는 궁극적인 데이터

 

5계층(세션 계층) : 지속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계층

 

6계층(표현 계층) : 주고받는 데이터의 번역을 담당하는 계층

 

7계층(응용 계층) :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

 

ARP Spoofing과 네트워크 계층

 

ARP Spoofing은 TCP/IP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악용하는 해킹 기법

 

ARP Spoofing은 2계층의 MAC 주소와 3계층의 IP 주소를 변조한다

 

감염 당한 네트워크는 변조된 주소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해커에게 데이터를 넘기게 된다

'Hacking > ARP 스푸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6)  (0) 2021.09.09
공부(5)  (0) 2021.09.09
공부(4)  (0) 2021.09.08
공부(3)  (0) 2021.09.08
공부(1)  (0) 2021.09.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