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정의

 

변수는 변할수 있는 문자

 

자연수 = 1, 2, 3~~

 

정수(integer) = ~~ -3, -2, -1, 0, 1, 2, 3~~

 

1.1 은 real number 실수라고 한다 double형으로 쓰면 된다

 

문자열은 String

 

자바는 다른 언어들과 다르게 변수를 지정할 때 변수값의 데이터타입을 지정해야 한다

 

그 이유는 오류를 찾기 쉽고 구별이 되기 때문이다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 // Number -> integer
		System.out.println(a);

		double b = 1.1; // real number -> double
		System.out.println(b);
		
		String c = "Hello World";
		System.out.println(c);
	}

}

 

변수의 효용

 

public class Let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name = "A";
		System.out.println("Hello, " +name+" ... "+name+" ... "+name+" ... bye");

		double VAT = 10.0;
		System.out.println(VAT);
	}

}

 

데이터 타입의 변환 (casting)

 

정수를 double형에 담으면 .0 이 붙는다

 

1.1을 강제로 정수로 바꾸면 소수점이 없어지므로 손실이 일어나서 1로 출력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려면

 

String f = Integer.toString(1); 이런식으로 하면 된다

 

데이터타입을 알려주는 것 .getClass()를 이용하면 String 형임을 알 수 있다

 

public class Cast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a = 1.1;
		double b = 1;
		double b2 = (double) 1;
		System.out.println(b);

//		int c = 1.1;
		double d = 1.1;
		int e = (int) 1.1;
		System.out.println(e);
		
		// 1 to String
		String f = Integer.toString(1);
		System.out.println(f.getClass());
	}

}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7)  (0) 2021.09.23
공부(6)  (0) 2021.09.23
공부(4)  (0) 2021.09.23
공부(3)  (0) 2021.09.22
공부(2)  (0) 2021.09.22

문자열의 표현

 

다른 언어들은 그냥 출력이 되지만 자바에선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을 넣으면 오류가 나온다 

 

작은따옴표는 한 글자를 대표하는 데이터 타입 (Character)

 

Character들이 모이면 String

 

System.out.println("Hello World"); 에서 

 

System.out.println("Hello

World"); 이렇게 엔터를 치면 오류가 뜬다

 

하지만 이클립스가 자동으로 

System.out.println("Hello "

+ "World"); 해주면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엔터의 역할은 \n 가 해준다

 

"" 사이에 문자열로 "를 넣어주고 싶다면 앞에 \ 역슬래시를 넣어주면 된다

 

public class String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w World"); // String
		System.out.println('H'); // Character
		System.out.println("H"); // String
		
		System.out.println("Hello "
				+ "World");
		
		// new line
		System.out.println("Hello \nWorld");
		
		// escape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Hello "World"
	}

}

 

문자열 다루기

 

public class StringOper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length());
		System.out.println("Hello, [[[name]]] ... bye. ".replace("[[[name]]]", "B"));

	}

}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6)  (0) 2021.09.23
공부(5)  (0) 2021.09.23
공부(3)  (0) 2021.09.22
공부(2)  (0) 2021.09.22
공부(1)  (0) 2021.09.22

숫자와 연산

 

public class Numb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Operator
		System.out.println(6 + 2); // 8
		System.out.println(6 - 2); // 4
		System.out.println(6 * 2); // 12
		System.out.println(6 / 2); // 3
		
		System.out.println(Math.PI); // 3.141592653589793
		System.out.println(Math.floor(Math.PI)); // 3.0
		System.out.println(Math.ceil(Math.PI)); // 4.0
	}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Math. 하게되면 수학과 관련된 여러 명령어들을 볼 수 있다

 

Math.PI 하면 PI의 값 3.14~~가 출력되고

 

이 Math.PI 를 Math.floor로 묶어주면 소숫점자리의 값들을 제거해준다

 

Math.ceil 은 값을 올려주는 것 (.1 이상일 때)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6)  (0) 2021.09.23
공부(5)  (0) 2021.09.23
공부(4)  (0) 2021.09.23
공부(2)  (0) 2021.09.22
공부(1)  (0) 2021.09.22

데이터와 연산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데이터로는 Number와 String이 있다

 

Number +,-,/,* 수학적 처리

String length, substring, search

etc.

 

이클립스로 가서 Datatype.java 파일을 만들어준다

 

sysout 입력 후 Ctrl + Space 해주면 자동완성으로 System.out.println(); 이 만들어진다

 

public class Datatyp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6); // Number
		System.out.println("six"); //String
		
		System.out.println("6"); // String 6
		
		System.out.println(6+6); // 12
		System.out.println("6" + "6"); //66
		
		System.out.println(6*6); // 36
//		System.out.println("6" * "6");
		
		System.out.println("1111".length()); // 4
//		System.out.println(1111.length());
	}
}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6)  (0) 2021.09.23
공부(5)  (0) 2021.09.23
공부(4)  (0) 2021.09.23
공부(3)  (0) 2021.09.22
공부(1)  (0) 2021.09.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