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of Service (QoS) : 돈을 낸 만큼 서비스를 보장받아야 함
Security - IPv4에서 IPSec 사용 IPv4에서 IPSec을 위한 헤더가 존재하지 않기에 페이로드에 추가하여 사용하고 네트워크층과 전송층 사이에서 동작
서킷 스위칭(Circuit-Switching) : 서킷이라는 연결을 두 장비간 사이에 만들어서 통신에 사용 -> 전용선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
도착 순서가 다를 수 있다(경로에 대한 합의X -> connectionless)
서킷망(경로 고정) <-> 패킷망(경로 고정X)
네트워크 층 - 패킷망 : connectionless -> 라우터가 데이터를 얼마나 잘 처리할 수 있는가가 중요, 패킷(주소)만 보고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판단
패킷망에서 진짜 서킷은 아니지만 같은 경로, 같은 순서로 오게 하는 것 -> Virtual-Circuit
Virtual-Circuit 설정 단계
라우터가 가상 회로에 대한 항목을 생성
두 개의 보조 패킷을 교환해야 함
Request Packet : 소스에서 대상으로 전송됨
Acknowledgment Packet : 잘받았다는 표시(수신확인)
처음 과정은 라우팅을 한다. 그리고 받는 측이 Label을 붙임
Outing 과정에서는 라우팅을 다시 안하고 추후에 Label로 호출했을 때 라우팅 과정 없이 바로 목적지로 도착
통신을 마쳤으면 지워줘야한다(메모리 초과 or 비용)
네트워크층 성능
Transmission Delay : 단위시간동안 전송되는 데이터 총량
Delay(tr) = (Packet length) / (Transmission rate)
여기서 Packet의 단위는 bit, Transmission rate의 단위는 bps(bit-per-second)
Propagation Delay(전파 지연) : 거리에 따른 지연
Delay(pg) = (Distance) / (Propagation speed)
Distance 단위 m, Propagation speed 단위 m/sec
10000/100000000 = 10*/10^-6 10us(마이크로초)
네트워크 층(2)
2023. 3. 13. 15:10